통저철학(通底哲學, Transversal Philosophy)으로서의 이퇴계 -오구라 기조(小倉紀蔵, 일본 교토대학)
39:37
16세기 후반 조선 종법(宗法)의 변화와 퇴계 이황 -정호훈(鄭豪薰, 한국 서울대학)
28:53
퇴계와 주자학의 관계 -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-강지은(姜智恩, 대만 대만대학)
38:26
인심도심(人心道心)의 신변(新辯) -선슌푸(沈順福, 중국 산동대학)
23:24
청왕조의 통치전략과 사서(四書)의 만주어 번역 -김수경(金洙景, 한국 상지대학)
37:19
이황의 명대 유학 비판 - ‘정성(定性)’과 ‘정심(正心)’ 해석을 중심으로 - 이현선(李賢仙, 한국 서울대학)
33:24
퇴계학의 종교론적 이론구조와 영성적 의미 탐색 -장윤수(張閏洙, 한국 대구교육대학)
19:20
O Escritor que Decifrou a Vida – Fiódor Dostoiévski
22:42